

"SWING이 어떤 미래로
데려다 주길 원해?"
24시간 가동되는 SWING을 위해
오늘도 숨 가쁘게 뛰는 SWING PEOPLE.
바쁜 일상 속, 잠시 동안의 쉼을 통해
SWING PEOPLE의
일상 속 즐거움을 들여다보는 인터뷰.
'내일'과 내 '일' 그리고 SWING 문화와 생활의
경계가 흐릿해지는 곳엔
언제나 SWING이 함께 있다.
그의 일과 쉼 사이에는
늘 SWING이 함께 하고 있었다.
그들을 만나 그들의 목적지를 물었다.
윤자영
EDITOR
“이제 열심히 산다는 게 뭔 지 알 것 같아요 …
과거로 돌아간다면
열심히 살지 않았던 그 때로 갈 거예요.”
- 남정현, SWING 강남캠프 팀장

‘열심히 산다는 것’은 상대적이다.
누군가가 아무리 노력해도 얻지 못한 것을
누군가는 콩알만큼의 노력으로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열심히 산다는 것’의 정답은 없다.
하지만 이 어려운 문제를 끊임없이 풀어 보려는 이가 있다.
과거로 돌아갈 수만 있다면 주저하지 않고
열심히 살지 않았던 순간으로 가겠다는 사람.
오늘 SWING 강남캠프의 열정 담당 ‘남정현 팀장님’을 만나,
‘열심히 산다는 것’의 가치를 되새겨 보았다.

SWING 강남 캠프 팀장
남정현님을 만나 보았다.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남정현
반갑습니다.
저는 현재 SWING 강남캠프에서 팀장으로 일하고 있는 남정현 이라고 합니다.

하고 계시는 직무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들어볼 수 있을까요?
남정현
음… 구체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어떻게 하면 더 효율적으로 킥보드 관리, 운영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실행하는 일을 하고 있어요.특히나 최근에는 헬멧 착용 이슈처럼 강화된 법과 같은 건들에 대해 어떻게 대처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어요.
시민 분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킥보드 이용’과 ‘안전’ 이 두 마리 토끼를 잡을 방법 같은 것들에 대한 고민이요.

그런 고민들을 하시다 보면 순식간에 하루가 지나갈 것 같아요. 회사에 출근하셔서 퇴근하기까지의 일과는 어떻게 되시나요?
남정현
보통 주간에 출근해서 그 동안 쌓인 민원 건들을 처리하는 일을 하고, 새로 들어오는 기기들을 배치하고 관리해요.
그리고 혹시나 매출이 잘 나오지 않는 구역이 있다면 다시 포인트를 생성하여 재배치하기도 합니다.
그러다 보니 출퇴근 한다는 개념보다 하루 종일 일을 생각하면서 사는 것 같아요.
그런데 정말 신기한 건 제가 진심으로 우러나와서 하는 일이라서 그런지 힘이 든다고 생각해본 적은 없어요.
#이게바로 #SWING #캠프관리팀장의삶


아무리 그래도 밤낮없이 일을 하다 보면 지치고 힘들다는 생각이 들지 않나요?
남정현
사실 다른 곳이었다면 내가 굳이 이렇게 까지 해야하나? 라는 생각이 들었을 수도…?(웃음)
그런데 여기는 조금 다른 마음으로 일하고 있는 것 같아요.
그게 물론 팀장으로서의 책임감 일 수도 있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건 제가 일을 재밌다고 느끼는 것 같아요.
사실 흥미만큼 큰 동기는 없으니까요.
#워커홀릭 #애사심뿜뿜

회사에 대한 애사심과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애착이 느껴져요. 그런데 혹시, 지금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아쉬운 점은 없으셨나요?
남정현
킥보드에 대한 인식이랄까요? 음… 사실 저도 SWING에 입사하기 전에는 킥보드에 대한 인식이 좋지는 않았어요.
문제가 생기면 뉴스에서는 워낙 크게 보도가 되니, 저도 그랬고 지금 대부분의 사람들이 위험하다고만 생각하는 것 같아요.
그런데 막상 실상을 알고 보면 제한규정속도도 25km로 규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위험하게 탈 만한 요소들은 거의 적다고 봐야 하거든요. 그래서 조금은 아쉬운 마음이 드는 것 같아요.
물론 앞으로 그러한 인식들을 바꿔가는 게 SWING과 저의 역할이라고 생각해요.
#킥보드_잘부탁드립니다

SWING 강남 캠프

인터뷰를 하다 보니 단순히 회사에 대한 애사심도 크지만 모빌리티 산업에 대한 자부심도 있어 보여요.
남정현
이제 킥보드는 단순히 교통수단에 그치지 않는다고 생각해요.
이용하시는 분들이 버스나 지하철을 타고 갈 수 있는 목적지도 굳이 킥보드를 타는 이유가 즐겁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대중교통과 레저의 통합, 그게 킥보드를 타는 이유이기도 하죠.

굉장히 잘 맞는 직업을 선택하신 것 같아요. 혹시 일하게 된 특별한 계기가 있을까요?
남정현
그게 사실, 역사가 좀 길어요(웃음).
한 때 음악을 했었는데 그 당시에 굉장히 존경하는 프로듀서 분이 계셨어요.
그런데 그 분께서 “우리 같이 일해보지 않을래?”라고 말해주셨죠.
당시에는 배달파트너 일을 하고 있던 시기였는데 흔쾌히 해보겠다고 말씀드렸던 기억이 나요.
#음악인에서 #팀장이되기까지

음악 얘기가 나온 김에 말씀드리자면 음악 이외에도 집꾸미기CS업무, 유튜버 등 다양한 경험이 있으시더라구요.
혹시 그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이 있을까요?
남정현
아무래도 음악이죠. 군대 전역하고 늦은 나이에 음악을 해야겠다는 마음을 먹고 시작했어요.
나름 하루에 3~4시간을 자면서 당시에는 열심히 했다고 생각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그저 동아리 활동처럼 한 것 같아요.
지금 생각해보면 정말 열심히 한 걸까? 생각도 들었기에 아쉬움이 남아요


음악을 하시면서 모 대형기획사로부터 제의를 거절하셨다고 들었어요. 혹시 후회하지는 않으시나요?
남정현
(빵 터짐) 우연한 계기로 아이돌 제의를 받는데 그 자리에서 거절했던 것 같아요.
당시에는 아이돌 그룹과 저의 음악적인 부분이 맞지 않는다고 생각했고,
활동을 하게 되면 자기 음악을 하지 못할거라 생각했으니까요.
그래서 당차게 거절했는데 딱 한번 후회했어요.
무명으로 음악을 하는 시간이 늘어나니 뚜렷한 성과 없이 부모님을 설득하기 죄송스럽더라구요.
아무래도 부모님 세대는 힙합 음악을 이해하기 어려우셨으니까요. 물론, 지금은 후회 없습니다.
#본격 #한류스타될뻔한SSUL

굉장히 주관이 강하시고, 자유로우신 것 같아요.
남정현
맞아요. 저는 뭔가 얽매이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요. 그런 면에서 SWING의 마인드가 정말 좋아요.
사실 업무적으로는 크게 자유롭지 못하지만, 왜 그런지 몰라도 너무나 자유롭다는 기분이 항상 들어요.
다른 SWING직원들과 이야기를 나눠봐도 저만 느끼는 게 아니라 다들 그렇게 느끼시더라구요.
분명 회사의 분위기라는 것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인터뷰하면서 느낀 정현님은 현재에 굉장히 만족해 하시는 것처럼 보여요. 하지만, 그럼에도 돌아가고 싶은 순간이 있다면?
남정현
저는 음악을 처음 시작한 시점으로 돌아가고 싶어요.
지금은 “열심히 산다”는 게 조금은 뭔 지 알 것 같거든요. 시간을 이동할 수 있다면 돈을 쉽게, 그리고 많이 버는 요행도
할 수 있겠지만 돌아갈 수 있다면 정말 열심히 살아보고 싶어요.
무작정 열심히 살겠다는 것이 아니라 계획적으로 “이 시기까지는 이 위치에 있겠다” 와 같이 목표를 잡고 이뤄내고 싶어요.


혹시 아이돌 제안을 받았을 당시로는 돌아갈 생각은 없으신가요?(웃음)
남정현
절대(x10)없어요. 아까도 말했지만 저는 더이상 그 결정에 대해 후회하지 않기 때문인데 더 큰 이유가 있죠.
사실…그 때 결성됐던 아이돌 그룹이 망했다고 하더라구요(웃음)

마지막 질문하나 할게요 “정현님에게 ‘SWING’이란?”
남정현
멋있게 말해야 되나요?(웃음).
흠… 저는 성장의 계기라고 생각해요.
아까 전에 저를 이곳까지 이끌어 주신 프로듀서 분이 현재 SWING의 이사님이신데요.
예전에도 그 분에게 많은 걸 배웠지만, 지금도 항상 배우고 있다고 생각해요. 이제야 조금씩 알 것 같은 ‘열심히 사는 법’이 몇 년 뒤에는 더 구체화 될 수 있을 것 같고요.
앞으로도 SWING에서 비슷한 일을 하고 있겠지만,
이런 생각을 가지고 살다 보니 3년 뒤 쯤엔 제가 얼마나 성장되어 있을지 궁금해요
#SWING과_함께_성장할래요

오늘 인터뷰에서 ‘열심히 산다’ 라는 말이 특히나 크게 와 닿았어요. 진취적이고 긍정적인 마인드에 인터뷰를 진행하는
저 역시도 느낀 게 많았던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
남정현
저도 오늘 뜻 깊은 시간이었습니다.
제가 말 주변이 없는 편인데…알아서 잘 써주실 거라 믿어요(웃음). 감사합니다.
#저만믿어요정현님

Interviewee: 남정현
Location: SWING 강남 캠프
Editor-In-Chief: 김미선, 윤자영
Interviewer, Copy Editing & Photography: MADER
Design: dPark, 박민경
Produced By

"SWING이 어떤 미래로
데려다 주길 원해?"
24시간 가동되는 SWING을 위해
오늘도 숨 가쁘게 뛰는 SWING PEOPLE.
바쁜 일상 속, 잠시 동안의 쉼을 통해
SWING PEOPLE의
일상 속 즐거움을 들여다보는 인터뷰.
'내일'과 내 '일' 그리고 SWING 문화와 생활의
경계가 흐릿해지는 곳엔
언제나 SWING이 함께 있다.
그의 일과 쉼 사이에는
늘 SWING이 함께 하고 있었다.
그들을 만나 그들의 목적지를 물었다.
윤자영
EDITOR
“이제 열심히 산다는 게 뭔 지 알 것 같아요 …
과거로 돌아간다면
열심히 살지 않았던 그 때로 갈 거예요.”
- 남정현, SWING 강남캠프 팀장
‘열심히 산다는 것’은 상대적이다.
누군가가 아무리 노력해도 얻지 못한 것을
누군가는 콩알만큼의 노력으로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열심히 산다는 것’의 정답은 없다.
하지만 이 어려운 문제를 끊임없이 풀어 보려는 이가 있다.
과거로 돌아갈 수만 있다면 주저하지 않고
열심히 살지 않았던 순간으로 가겠다는 사람.
오늘 SWING 강남캠프의 열정 담당 ‘남정현 팀장님’을 만나,
‘열심히 산다는 것’의 가치를 되새겨 보았다.
SWING 강남 캠프 팀장
남정현님을 만나 보았다.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남정현
반갑습니다.
저는 현재 SWING 강남캠프에서 팀장으로 일하고 있는 남정현 이라고 합니다.
하고 계시는 직무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들어볼 수 있을까요?
남정현
음… 구체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어떻게 하면 더 효율적으로 킥보드 관리, 운영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실행하는 일을 하고 있어요.특히나 최근에는 헬멧 착용 이슈처럼 강화된 법과 같은 건들에 대해 어떻게 대처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어요.
시민 분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킥보드 이용’과 ‘안전’ 이 두 마리 토끼를 잡을 방법 같은 것들에 대한 고민이요.
그런 고민들을 하시다 보면 순식간에 하루가 지나갈 것 같아요. 회사에 출근하셔서 퇴근하기까지의 일과는 어떻게 되시나요?
남정현
보통 주간에 출근해서 그 동안 쌓인 민원 건들을 처리하는 일을 하고, 새로 들어오는 기기들을 배치하고 관리해요.
그리고 혹시나 매출이 잘 나오지 않는 구역이 있다면 다시 포인트를 생성하여 재배치하기도 합니다.
그러다 보니 출퇴근 한다는 개념보다 하루 종일 일을 생각하면서 사는 것 같아요.
그런데 정말 신기한 건 제가 진심으로 우러나와서 하는 일이라서 그런지 힘이 든다고 생각해본 적은 없어요.
#이게바로 #SWING #캠프관리팀장의삶
아무리 그래도 밤낮없이 일을 하다 보면 지치고 힘들다는 생각이 들지 않나요?
남정현
사실 다른 곳이었다면 내가 굳이 이렇게 까지 해야하나? 라는 생각이 들었을 수도…?(웃음)
그런데 여기는 조금 다른 마음으로 일하고 있는 것 같아요.
그게 물론 팀장으로서의 책임감 일 수도 있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건 제가 일을 재밌다고 느끼는 것 같아요.
사실 흥미만큼 큰 동기는 없으니까요.
#워커홀릭 #애사심뿜뿜
회사에 대한 애사심과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애착이 느껴져요. 그런데 혹시, 지금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아쉬운 점은 없으셨나요?
남정현
킥보드에 대한 인식이랄까요? 음… 사실 저도 SWING에 입사하기 전에는 킥보드에 대한 인식이 좋지는 않았어요.
문제가 생기면 뉴스에서는 워낙 크게 보도가 되니, 저도 그랬고 지금 대부분의 사람들이 위험하다고만 생각하는 것 같아요.
그런데 막상 실상을 알고 보면 제한규정속도도 25km로 규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위험하게 탈 만한 요소들은 거의 적다고 봐야 하거든요. 그래서 조금은 아쉬운 마음이 드는 것 같아요.
물론 앞으로 그러한 인식들을 바꿔가는 게 SWING과 저의 역할이라고 생각해요.
#킥보드_잘부탁드립니다
SWING 강남 캠프
인터뷰를 하다 보니 단순히 회사에 대한 애사심도 크지만 모빌리티 산업에 대한 자부심도 있어 보여요.
남정현
이제 킥보드는 단순히 교통수단에 그치지 않는다고 생각해요.
이용하시는 분들이 버스나 지하철을 타고 갈 수 있는 목적지도 굳이 킥보드를 타는 이유가 즐겁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대중교통과 레저의 통합, 그게 킥보드를 타는 이유이기도 하죠.
굉장히 잘 맞는 직업을 선택하신 것 같아요. 혹시 일하게 된 특별한 계기가 있을까요?
남정현
그게 사실, 역사가 좀 길어요(웃음).
한 때 음악을 했었는데 그 당시에 굉장히 존경하는 프로듀서 분이 계셨어요.
그런데 그 분께서 “우리 같이 일해보지 않을래?”라고 말해주셨죠.
당시에는 배달파트너 일을 하고 있던 시기였는데 흔쾌히 해보겠다고 말씀드렸던 기억이 나요.
#음악인에서 #팀장이되기까지
음악 얘기가 나온 김에 말씀드리자면 음악 이외에도 집꾸미기CS업무, 유튜버 등 다양한 경험이 있으시더라구요.
혹시 그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이 있을까요?
남정현
아무래도 음악이죠. 군대 전역하고 늦은 나이에 음악을 해야겠다는 마음을 먹고 시작했어요.
나름 하루에 3~4시간을 자면서 당시에는 열심히 했다고 생각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그저 동아리 활동처럼 한 것 같아요.
지금 생각해보면 정말 열심히 한 걸까? 생각도 들었기에 아쉬움이 남아요
음악을 하시면서 모 대형기획사로부터 제의를 거절하셨다고 들었어요. 혹시 후회하지는 않으시나요?
남정현
(빵 터짐) 우연한 계기로 아이돌 제의를 받는데 그 자리에서 거절했던 것 같아요.
당시에는 아이돌 그룹과 저의 음악적인 부분이 맞지 않는다고 생각했고,
활동을 하게 되면 자기 음악을 하지 못할거라 생각했으니까요.
그래서 당차게 거절했는데 딱 한번 후회했어요.
무명으로 음악을 하는 시간이 늘어나니 뚜렷한 성과 없이 부모님을 설득하기 죄송스럽더라구요.
아무래도 부모님 세대는 힙합 음악을 이해하기 어려우셨으니까요. 물론, 지금은 후회 없습니다.
#본격 #한류스타될뻔한SSUL
굉장히 주관이 강하시고, 자유로우신 것 같아요.
남정현
맞아요. 저는 뭔가 얽매이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요. 그런 면에서 SWING의 마인드가 정말 좋아요.
사실 업무적으로는 크게 자유롭지 못하지만, 왜 그런지 몰라도 너무나 자유롭다는 기분이 항상 들어요.
다른 SWING직원들과 이야기를 나눠봐도 저만 느끼는 게 아니라 다들 그렇게 느끼시더라구요.
분명 회사의 분위기라는 것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인터뷰하면서 느낀 정현님은 현재에 굉장히 만족해 하시는 것처럼 보여요. 하지만, 그럼에도 돌아가고 싶은 순간이 있다면?
남정현
저는 음악을 처음 시작한 시점으로 돌아가고 싶어요.
지금은 “열심히 산다”는 게 조금은 뭔 지 알 것 같거든요. 시간을 이동할 수 있다면 돈을 쉽게, 그리고 많이 버는 요행도
할 수 있겠지만 돌아갈 수 있다면 정말 열심히 살아보고 싶어요.
무작정 열심히 살겠다는 것이 아니라 계획적으로 “이 시기까지는 이 위치에 있겠다” 와 같이 목표를 잡고 이뤄내고 싶어요.
혹시 아이돌 제안을 받았을 당시로는 돌아갈 생각은 없으신가요?(웃음)
남정현
절대(x10)없어요. 아까도 말했지만 저는 더이상 그 결정에 대해 후회하지 않기 때문인데 더 큰 이유가 있죠.
사실…그 때 결성됐던 아이돌 그룹이 망했다고 하더라구요(웃음)
마지막 질문하나 할게요 “정현님에게 ‘SWING’이란?”
남정현
멋있게 말해야 되나요?(웃음).
흠… 저는 성장의 계기라고 생각해요.
아까 전에 저를 이곳까지 이끌어 주신 프로듀서 분이 현재 SWING의 이사님이신데요.
예전에도 그 분에게 많은 걸 배웠지만, 지금도 항상 배우고 있다고 생각해요. 이제야 조금씩 알 것 같은 ‘열심히 사는 법’이 몇 년 뒤에는 더 구체화 될 수 있을 것 같고요.
앞으로도 SWING에서 비슷한 일을 하고 있겠지만,
이런 생각을 가지고 살다 보니 3년 뒤 쯤엔 제가 얼마나 성장되어 있을지 궁금해요
#SWING과_함께_성장할래요
오늘 인터뷰에서 ‘열심히 산다’ 라는 말이 특히나 크게 와 닿았어요. 진취적이고 긍정적인 마인드에 인터뷰를 진행하는
저 역시도 느낀 게 많았던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
남정현
저도 오늘 뜻 깊은 시간이었습니다.
제가 말 주변이 없는 편인데…알아서 잘 써주실 거라 믿어요(웃음). 감사합니다.
#저만믿어요정현님
Interviewee: 남정현
Location: SWING 강남 캠프
Editor-In-Chief: 김미선, 윤자영
Interviewer, Copy Editing & Photography: MADER
Design: dPark, 박민경
Produced By